본문 바로가기
선형대수학/내적공간

직교집합과 사영정리

by 수학과 맛보기 2023. 12. 19.

 

정의1

실내적공간의 두 개 이상의 벡터들로 이루어진 집합에서 서로 다른 모든 벡터들이 서로 직교하면, 그 집합을 직교집합(orthogonal set)이라고 한다. 모든 벡터의 놈이 1인 직교집합을 정규직교집합(orthnormal set)이라고 한다.

 

 

 

정의2

$\mathbf{v}$가 내적공간의 영이 아닌 벡터라 하면,

$$\left\|\frac{1}{\left\|\mathbf{v} \right\|} \mathbf{v} \right\| = \left|\frac{1}{\left\|\mathbf{v} \right\|} \right|\left\|\mathbf{v} \right\| = \frac{1}{\left\|\mathbf{v} \right\|} \left\|\mathbf{v} \right\| = 1$$

이 된다. 이로부터 영이 아닌 벡터에 그것의 놈의 역수를 곱해주게 되면 놈이 1인 벡터가 나오게 됨을 알 수 있다.

이런 방법을 $\mathbf{v}$의 정규화(normalizing $\mathbf{v}$)라고 한다.

 

 

 

정리1

내적공간의 영이 아닌 벡터로 이루어진 직교집합 $S = \begin{Bmatrix} 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n} \end{Bmatrix}$은 일차독립이다.

 

더보기

  $k_{1}\mathbf{v}_{1} + k_{2}\mathbf{v}_{2} + \cdots + k_{n}\mathbf{v}_{n} = \mathbf{0}$

  에 대하여 $S$의 각 벡터 $\mathbf{v}_{i}$  $(i = 1, 2, \cdots, n)$를 내적하면 

  $\left<k_{1}\mathbf{v}_{1} + k_{2}\mathbf{v}_{2} + \cdots + k_{n}\mathbf{v}_{n}, \mathbf{v}_{i} \right> = \left<\mathbf{0}, \mathbf{v}_{i} \right> = 0$

  이다. 즉,

  $k_{1}\left<\mathbf{v}_{1}, \mathbf{v}_{i} \right> + k_{2}\left<\mathbf{v}_{2}, \mathbf{v}_{i} \right> + \cdots + k_{n}\left<\mathbf{v}_{n}, \mathbf{v}_{i} \right> = 0$

  이다. 이때 $S$가 직교집합이므로 $j \neq i$이면 $\left<\mathbf{v}_{j}, \mathbf{v}_{i} \right> = 0$이므로 위는

  $k_{i} \left<\mathbf{v}_{i}, \mathbf{v}_{i} \right> = 0$

  과 같다.

  $S$ 안의 벡터들은 영이 아니므로 $\left<\mathbf{v}_{i}, \mathbf{v}_{i} \right> = 0$이다.

  $\therefore$  $k_{i} = 0$  $(i = 1, 2, \cdots, n)$

  $\therefore$  $S = \begin{Bmatrix} 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n} \end{Bmatrix}$은 일차독립

 

 

 

정의3

내적공간에서 정규직교벡터로 이루어진 기저를 정규직교기저(orthonormal basis)라 하고,

직교벡터로 이루어진 기저를 직교기저(orthogonal basis)라 한다.

 

 

 

정리2

1.  만약 $S = \begin{Bmatrix} 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n} \end{Bmatrix}$가 내적공간의 $V$의 직교기저이고, $\mathbf{u}$가 $V$ 안의 임의의 벡터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.

$$\mathbf{u} = \frac{\left<\mathbf{u}, \mathbf{v}_{1} \right>}{\left\|\mathbf{v}_{1} \right\|^{2}} \mathbf{v}_{1} +
\frac{\left<\mathbf{u}, \mathbf{v}_{2} \right>}{\left\|\mathbf{v}_{2} \right\|^{2}} \mathbf{v}_{2} + \cdots +
\frac{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n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n} \right\|^{2}} \mathbf{v}_{n}$$

2.  만약 $S = \begin{Bmatrix} 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n} \end{Bmatrix}$가 내적공간의 $V$의 정규직교기저이고, $\mathbf{u}$가 $V$ 안의 임의의 벡터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.

$$\mathbf{u} = 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1} \right> \mathbf{v}_{1} +
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2} \right> \mathbf{v}_{2} + \cdots +
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n} \right> \mathbf{v}_{n}$$

 

pf)

더보기

  $\left\{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n} \right\}$가 $V$의 기저이기 때문에 $V$ 안의 모든 벡터 $\mathbf{u}$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.

  $\mathbf{u} = c_{1}\mathbf{v}_{1} + c_{2}\mathbf{v}_{2} + \cdots + c_{n}\mathbf{v}_{n} $

  $S$의 각 벡터 $\mathbf{v}_{i}$  $(i = 1, 2, \cdots, n)$를 내적하면 

  $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i} \right> = \left< c_{1}\mathbf{v}_{1} + c_{2}\mathbf{v}_{2} + \cdots + c_{n}\mathbf{v}_{n}, \mathbf{v}_{i} \right>$

                 $= c_{1}\left<\mathbf{v}_{1}, \mathbf{v}_{i} \right> + c_{2}\left<\mathbf{v}_{2}, \mathbf{v}_{i} \right> + \cdots + c_{n}\left<\mathbf{v}_{n}, \mathbf{v}_{i} \right>$

                 $= c_{i} \left<\mathbf{v}_{i}, \mathbf{v}_{i} \right>$

                 $= c_{i} \left\|\mathbf{v}_{i} \right\|^{2}$

 

  $\therefore$  $c_{i} = \frac{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i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i} \right\|^{2}}$  $(i = 1, 2, \cdots, n)$

 

더보기

  이때 $\left\|\mathbf{v}_{i} \right\| = 1$  $(i = 1, 2, \cdots, n)$이므로 1.에 의해 $c_{i} = 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i} \right>$이다.

 

 

 

정리3

$W$가 내적공간 $V$의 유한차원 부분공간이면, $V$의 모든 벡터 $\mathbf{u}$는 오직 한 가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.

$$\mathbf{u} = \mathbf{w}_{1} + \mathbf{w}_{2}$$

단, $\mathbf{w}_{1}$은 $W$ 안의 벡터이며, $\mathbf{w}_{2}$은 $W^{\perp}$ 안의 벡터이다.  

 

# 증명생략

 

 

 

정의4

위에 벡터 $\mathbf{w}_{1}$과 $\mathbf{w}_{2}$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.

$\mathbf{w}_{1} = \mathrm{proj}_{W} \mathbf{u}$  와  $\mathbf{w}_{2} = \mathrm{proj}_{W^{\perp}} \mathbf{u}$

이 벡터들을 각각 $W$로의 $\mathbf{u}$의 정사영(또는 직교사영, orthogonal projection) 그리고 $W^{\perp}$로의 정사영(orthogonal projection of $\mathbf{u}$ on $W^{\perp}$)이라고 부른다. 벡터 $\mathbf{w}_{2}$는 $W$에 직교하는 $\mathbf{u}$의 성분(component of $\mathbf{u}$ orthogonal to $W$)으로도 불린다.

 

 

 

정리4

$W$를 내적공간 $V$의 유한차원 부분공간이라 하자.

1.  $\begin{Bmatrix} 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r} \end{Bmatrix}$이 $W$의 직교기저이고 $\mathbf{u}$가 $V$의 임의의 벡터이면

$$\mathrm{proj}_{W} \mathbf{u} = \frac{\left<\mathbf{u}, \mathbf{v}_{1} \right>}{\left\|\mathbf{v}_{1} \right\|^{2}} \mathbf{v}_{1} +
\frac{\left<\mathbf{u}, \mathbf{v}_{2} \right>}{\left\|\mathbf{v}_{2} \right\|^{2}} \mathbf{v}_{2} + \cdots +
\frac{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r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r} \right\|^{2}} \mathbf{v}_{r}$$

2.  $\begin{Bmatrix} \mathbf{v}_{1}, \mathbf{v}_{2},\cdots ,\mathbf{v}_{r} \end{Bmatrix}$이 $W$의 정규직교기저이고 $\mathbf{u}$가 $V$의 임의의 벡터이면

$$\mathrm{proj}_{W} \mathbf{u} = 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1} \right> \mathbf{v}_{1} +
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2} \right> \mathbf{v}_{2} + \cdots +
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r} \right> \mathbf{v}_{r}$$

 

pf)

더보기

  위의 정리3에 의하여 벡터 $\mathbf{u}$는 오직 한 가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. $$\mathbf{u} = \mathbf{w}_{1} + \mathbf{w}_{2}$$

  이때 $\mathbf{w}_{1}$은 $W$ 안의 벡터이며, $\mathbf{w}_{2}$은 $W^{\perp}$ 안의 벡터이다.  

 

  위의 정리2에 의하여 $\mathrm{proj}_{W}\mathbf{u} = \mathbf{w}_{1}$은 $W$의 직교기저벡터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 $$\mathrm{proj}_{W}\mathbf{u} = \mathbf{w}_{1} = \frac{\left<\mathbf{w}_{1}, \mathbf{v}_{1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1} \right\|^{2}} \mathbf{v}_{1} + \frac{\left<\mathbf{w}_{1}, \mathbf{v}_{2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2} \right\|^{2}} \mathbf{v}_{2} + \cdots + \frac{\left<\mathbf{w}_{1}, \mathbf{v}_{r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r} \right\|^{2}} \mathbf{v}_{r}$$

  $\mathbf{w}_{2}$는 $W$에 직교하기 때문에 

  $\left<\mathbf{w}_{2}, \mathbf{v}_{i} \right> = 0$  $(i = 1, 2, \cdots r)$

  를 만족한다. 즉, $$\mathrm{proj}_{W}\mathbf{u} = \mathbf{w}_{1} = \frac{\left<\mathbf{w}_{1} + \mathbf{w}_{2}, \mathbf{v}_{1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1} \right\|^{2}} \mathbf{v}_{1} + \frac{\left<\mathbf{w}_{1} + \mathbf{w}_{2} , \mathbf{v}_{2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2} \right\|^{2}} \mathbf{v}_{2} + \cdots + \frac{\left<\mathbf{w}_{1} + \mathbf{w}_{2} , \mathbf{v}_{r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r} \right\|^{2}} \mathbf{v}_{r}$$

  이다. 따라서 $$\mathrm{proj}_{W}\mathbf{u} = \mathbf{w}_{1} = \frac{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1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1} \right\|^{2}} \mathbf{v}_{1} + \frac{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2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2} \right\|^{2}} \mathbf{v}_{2} + \cdots + \frac{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r} \right>}{\left\|\mathbf{v}_{r} \right\|^{2}} \mathbf{v}_{r} $$

 

더보기

  이때 $\left\|\mathbf{v}_{i} \right\| = 1$  $(i = 1, 2, \cdots, n)$이므로 1.에 의해 $$\mathrm{proj}_{W} \mathbf{u} = 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1} \right> \mathbf{v}_{1} +
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2} \right> \mathbf{v}_{2} + \cdots +
\left<\mathbf{u}, \mathbf{v}_{r} \right> \mathbf{v}_{r}$$

  이다.

 

 

 

'선형대수학 > 내적공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내적공간에서의 각도와 직교성  (0) 2023.12.18
내적  (0) 2023.1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