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의1
만약 $A$가 정방행렬이고 $AB=BA=I$를 만족하는 같은 크기의 $B$가 존재한다면 $A$는 가역(invertible), 또는 정칙(nonsingular)이라고 하고 $B$를 $A$의 역행렬(inverse)이라고 한다. 만약 그와 같은 행렬 $B$가 존재하지 않으면 $A$는 특이행렬(singular)이라고 한다.
정리1
$B$와 $C$가 모두 $A$의 역행렬이면 $B=C$이다.
$B$는 $A$의 역행렬이므로 $BA=I$이다. 양쪽의 오른쪽에 $C$를 곱하면 $(BA)C=IC=C$이다.
이때 $(BA)C=B(AC)=BI=B$이므로 $C=B$이다.
정리2
만약 행렬 $A$와 $B$가 같은 크기의 가역 행렬이면 $AB$는 가역이고 $(AB)^{-1} = B^{-1}A^{-1}$이다.
$(AB)(B^{-1}A^{-1}) = A(BB^{-1})A^{-1} = AIA^{-1} = AA^{-1} = I$이고
같은 방법으로 $(B^{-1}A^{-1})(AB) = I$이다.
따라서 $AB$는 가역이고 $(AB)^{-1} = B^{-1}A^{-1}$이다.
따름정리
어떠한 가역 행렬들의 곱도 가역이며 그 곱의 역행렬은 각각의 역행렬을 역순으로 곱하여 얻을 수 있다.
정의2
$A$가 정방행렬이면 $A$의 음이 아닌 정수에 대한 거듭제급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$A^{0} = I, \; A^{n} = AA\cdots A$ [$n$개의 곱]
$A$가 가역이면 $A$의 음의 정수에 대한 거듭제곱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$A^{-n} = (A^{-1})^{n} = A^{-1}A^{-1}\cdots A^{-1}$ [$n$개의 곱]
정리3
행렬 $A$가 가역이고 $n$이 음이 아닌 정수라 하자.
1. $A^{-1}$도 가역이고 $(A^{-1})^{-1} = A$이다.
2. $A^{n}$도 가역이고 $(A^{n})^{-1} = A^{-n} = (A^{-1})^{n}$이다.
3. 임의의 0이 아닌 스칼라 $k$에 대해서 $kA$도 가역이고 $(kA)^{-1} = k^{-1}A^{-1}$이다.
pf)
$A^{-1}A = AA^{-1} = I$이다. 따라서 $A^{-1}$도 가역이고 $(A^{-1})^{-1} = A$
$A^{n}A^{-n} = AA \cdots A A^{-1}A^{-1} \cdots A^{-1} = I$이고
같은 방법으로 $A^{-n}A^{n} = I$이다.
따라서 $A^{n}$도 가역이고 $(A^{n})^{-1} = A^{-n} = (A^{-1})^{n}$이다.
$(kA)(k^{-1}A^{-1}) = k^{-1}(kA)A^{-1} = (k^{-1}k)AA^{-1} = (1)I = I$이고
같은 방법으로 $(k^{-1}A^{-1})(kA) = I$이다.
따라서 $kA$도 가역이고 $(kA)^{-1} = k^{-1}A^{-1}$이다. $\qquad \blacksquare $
정리4
$A$가 가역이면 $A^{T}$도 가역이고 $(A^{T})^{-1} = (A^{-1})^{T}$이다.
$A^{T}(A^{-1})^{T} = (A^{-1}A)^{T} = I^{T} = I$이고
같은 방법으로 $(A^{-1})^{T}A^{T} = I$이다.
따라서 $A^{T}$도 가역이고 $(A^{T})^{-1} = (A^{-1})^{T}$이다. $\qquad \blacksquare $
'선형대수학 > 행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행축소에 의한 행렬식 계산 (1) | 2024.01.14 |
---|---|
여인수 전개에 의한 행렬식 정의 (0) | 2024.01.14 |
대각행렬, 삼각행렬, 대칭행렬 (0) | 2024.01.14 |
연립일차방정식과 역행렬 (0) | 2023.09.21 |
기본행렬(elementary matrix) (0) | 2023.09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