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의1
$f \in \mathcal{R}[-\pi, \pi]$에 대하여,
$a_{n} = \frac{1}{\pi } \int_{-\pi }^{\pi } f(x)\mathrm{cos}nx \; dx$ $(n = 0, 1, 2, \cdots)$
$b_{n} = \frac{1}{\pi } \int_{-\pi }^{\pi } f(x)\mathrm{sin}nx \; dx$ $(n = 1, 2, \cdots)$
를 함수 $f$의 Fourier 계수라 하고
$f(x) \sim \frac{a_{0}}{2} + \sum_{n=1}^{\infty} [a_{n}\mathrm{cos}nx + b_{n}\mathrm{sin}nx]$
를 함수 $f$의 Fourier 급수라 한다.
$PC(2\pi)$를 $[-\pi, \pi]$에서 연속이고 주기가 $2\pi$인 주기함수라고 하자.
1. $PC(2\pi)$는 벡터공간이다.
2. 또한 내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$PC(2\pi)$는 내적공간이다.
$(f, g) = \frac{1}{\pi} \int_{-\pi}^{\pi} f(x)g(x) dx$
3. $\left\{\frac{1}{\sqrt{2}}, \mathrm{cos}x, \mathrm{cos}2x, \cdots, \mathrm{sin}x, \mathrm{sin}2x, \cdots \right\} $는 $PC(2\pi)$에서 정규직교계를 이룬다.
$f(x) = \frac{a_{0}}{2} + \sum_{n=1}^{\infty} (a_{n}\mathrm{cos}nx + b_{n}\mathrm{sin}nx)$
가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(평등수렴까지 성립한다고 가정)
1. $(f(x), \frac{1}{\sqrt{2}}) = \frac{a_{0}}{\sqrt{2}}$
2. $(f(x), \mathrm{cos}kx) = a_{k} $
3. $(f(x), \mathrm{sin}kx) = b_{k} $
$\therefore$ $f(x) = (f, \frac{1}{\sqrt{2}}) \frac{1}{\sqrt{2}} + \sum_{n=1}^{\infty} ( (f, \mathrm{cos}nx) \mathrm{cos}nx + (f, \mathrm{sin}nx) \mathrm{sin}nx)$
정의2
$ \frac{1}{\sqrt{2}}, \mathrm{cos}x, \mathrm{cos}2x, \cdots, \mathrm{sin}x, \mathrm{sin}2x, \cdots$이들 원소들의 유한 일차결합
$T_{n}(x) = \frac{A_{0}}{2} + \sum_{k=1}^{n} (A_{k}\mathrm{cos}kx + B_{k}\mathrm{sin}kx)$
을 $n$차 삼각다항식이라 한다.
'실해석학 > 푸리에 급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평등수렴과 파스발의 등식 (0) | 2024.01.01 |
---|---|
베셀의 부등식과 점별수렴 (0) | 2024.01.01 |